남 희 2023. 2. 15. 01:06

오늘 한 일 [DONE]

  • CS 스터디에서 네트워크 부분을 공부했다. 네트워크 기기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그리고 IP에 대해 공부했다.
  • DFS, BFS 알고리즘 문제를 풀었다.

📝오늘 배운 내용 간단 요약

1️⃣ 네트워크 기기

스위치란, 장비를 연결하며 통신 중재 및 연결 포트로만 신호 전송하는 네트워크 장비

(Ln 스위치 : OSI 7 계층 중 n계층의 스위치.)

  • 애플리케이션 계층 : L7 스위치
  • 전송 계층 : L4 스위치
  • 인터넷 계층 : 라우터, L3 스위치(HW기반 라우팅 담당), 라우터(Router)
  • 데이터 링크 계층 : L2 스위치, 브리지
  • 물리 계층 : NIC(Network Interface Card), 리피터(Repeater), AP(Access Point)

 

L7 스위치 : 로드밸런서(서버의 부하를 분산하는 기기). 트래픽 증가가 목표. 정기적으로 헬스체크 진행. IP, 포트 외 URL, HTTP 헤더, 쿠키 등 기반으로 트래픽 분산.

헬스체크(Health Check) : 서버 정상 작동 판별 목적으로 전송 주기와 재전송 횟수 설정 후 반복적으로 서버에 요청.

L4 스위치 : 로드밸런서. L7와 달리 스트리밍 관련, 메시지 기반 인식 불가. IP와 특히 Port 기반 트래픽 분산.

Router : 여러 개의 네트워크를 연결, 분할, 구분하는 역할.

L3 스위치 : L2 스위치 + 라우팅 기능. 그냥 라우터라고 보기도. 라우팅 테이블, IP 패킷, IP 주소 참조.

L2 스위치 : MAC 주소 테이블, 이더넷 프레임, MAC 주소 참조해 패킷 전송.

Bridge : 두 개의 LAN을 상호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망 연결 장치

NIC : LAN 카드라고도 함. 네트워크와 빠른 속도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컴퓨터 내 설치하는 확장 카드. MAC 주소 가짐.

Repeater : 약해진 신호 정도를 증폭해 전달하는 장치

AP : 패킷을 복사하는 기기.

 

2️⃣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IP 주소를 이용하여 MAC 주소를 구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어떤 장치 A가 ARP Request Broadcast를 IP 주소를 보내서 MAC 주소를 찾으면,

해당 주소에 맞는 장치 B가 ARP Reply Unicast로 MAC 주소를 반환.

 

3️⃣ Router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여, 그 위치에 대한 최적의 경로를 지정하며,

이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로 전달하는 네트워크 장치.

각 패킷이 여러 개의 라우터를 건너가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Hop by hop 통신이라고 함.

 

라우터에 들어가 있는 목적지 정보들과 그 목적지로 가기 위한 방법이 들어 있는 리스트가 Routing Table.

 

4️⃣ Gateway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통신망,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컴퓨터나 소프트웨어를 두루 일컫는 용어, 즉 다른 네트워크로 들어가는 입구 역할을 하는 네트워크 포인트.

 

5️⃣ IP 주소 체계

IPv4, IPv6가 있으며, IPv6로 체계가 점차 바뀌어 가고 있지만 아직 가장 많이 쓰이는 주소 체계는 IPv4.

클래스 기반 할당 방식을 사용하며, A~E 다섯 개의 클래스로 구분.

맨 왼쪽의 구분 비트로 클래스 구별. (A(0), B(10), C(110))

IPv4는 많은 기기를 수용하기에 주소의 수가 적은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를 활용.

 

 

 

출처